티스토리 뷰
교류 분석은 1950년대 미국의 정신의학자 Eric Berne에 의해 발전된 이론입니다. 교류 분석의 주요 개념들 10가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간관과 자아 상태
교류 분석은 정신분석적 접근을 기반으로 구축되었음에도 인간에 대해 낙관적인 입장을 취하는 반결정론적 철학을 토대로 인간을 조망하고 있습니다. 교류 분석에서 인간은 존재 가치가 있고 존엄성이 있으므로 삶과 환경에 대해 재결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고나 감정 그리고 행동 방식 등을 재구조화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인간은 어려서부터 중요한 타인의 기대나 요구에 영향을 받으며 자라게 됩니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에게 의존적인 상황에서 초기 결정을 내리게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초기 결정은 재검토되고 수정될 수 있는 것으로, 그 이전의 결정이 적절하지 않을 경우에는 새로운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것입니다. 교류 분석에서는 인간의 성격이 어버이 자아, 어른 자아, 어린이 자아로 구성되어 있다고 봅니다. 어버이 자아는 주로 중요한 인물들의 영향을 받아 형성됩니다. 어른 자아는 객관적 현실을 파악하고자 정보 수집, 자료처리, 현실적 가능성을 추정하는 기능을 합니다. 어린이 자아는 출생 후 5세경까지의 외적인 일들에 대한 감정적 반응체계가 내면화된 것입니다.
구조분석, 기능분석, 교류분석 개념
구조분석이란 개인의 감정, 사고, 행동을 자아상태 모델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방법으로 주로 어버이, 어른, 어린이의 세 가지 자아상태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능분석은 개인이 각 자아상태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가를 알기 위한 방법으로 어버이 자아는 비판적 어버이 자아, 양육적 어버이 자아로 나누며 어린이 자이는 자유로운 어린이 자아, 순응하는 어린이 자아로 나눕니다. 자아상태 기능의 역할 정도에 따라 문제가 해결되기도 하지만, 자아가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해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는데 대표적으로 혼합과 베타를 들 수 있습니다. 교류분석이론에서 기능적인 인간이란 다섯가지 자아상태의 에너지를 충분하게 활용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두 사람이 교류를 할 대, 자극과 반응을 어떻게 주고받는가에 따라 상보교류, 교차교류, 이면교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스트로크, 라켓, 각본분석, 생활자세, 게임 개념
스트로크란 사회적 행동의 동기를 제공하는 요인으로서 타인으로부터 얻어지는 인정자극을 의미합니다. 라켓은 게임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불쾌한 감정으로, 초기 결정의 강화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인생각본의 구성요소가 됩니다. 각본분석이란 자신의 자아상태에 대하여 통찰함으로써 자기 각본을 이해하고 거기서 벗어나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생활자세는 자기긍정. 타인긍정, 자기 긍정. 타인부정, 자기부정. 타인긍정, 자기부정. 타인부정의 네 가지가 있습니다. 자기부정. 타인부정의 생활자세를 지닌 사람들은 삶이 허무하고 절망에 가득 찬 것이라고 지각하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사람들은 심한 정신적 문제를 가지게 될 가능성이 많습니다. 게임이란 표면적으로는 합리적이고 친밀한 대화로써 동기화되고 상보적인 것으로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정형화된 함정이나 속임수가 내포되어 있는 교류입니다. 보통 모두에게 불쾌한 라켓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을 의미합니다.